HRD STORY 푸우시로 2018. 7. 23. 19:39
최근 국내기업들이 바라는 인재상은 무엇일까요? 위의 문제는 대한민국의 모든 취준비생이 항상 궁금해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매년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이 원하는 인재상이 다르고, 해마다 세계 경제동향이나 국내 사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어도 기업들이 공통으로 선호하는 인재상은 있기 마련인데요. 오늘 그 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크루트에서 발표한 2017년 하반기 공채 자소서 키워드를 ‘직무역량’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직무역량이란 일의 목적과 방향성을 정확히 숙지하고 그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정해진 기한 내에 원하는 결과물이나 성과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NCS는 그러한 직무 역량을 네 가지 (개인 역량, 글로벌 역량, 조직 역량, 태도 및 가치관)로 나누었습니다..
HRD STORY 푸우시로 2017. 10. 20. 01:48
안녕하세요 푸우시로 입니다.최근에 모 대학에서 NCS 직무능력 기초교육을 진행하면서..준비했던 자료들을 일부 발췌해서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첫째, 원할한 의사소통을 하면서 업무를 진행하게 되면 일방적인 대화가 아니라 쌍방이 서로 공놀이를 하듯이 즐기면서 일을 진행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공유" 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보면 그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원할한 의사소통은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며, 구성원의 사기를 진작시킨다. 서로를 격려하며 칭찬하고 세워주고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셋째, 의사소통을 수시로 하고 서로의 유익이 된다는 것을 모두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직원들간에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로 인해서 업무를 다시 진행하거나 문제점을 다시 분석하고 해결하는 시간을 ..
HRD STORY 푸우시로 2017. 10. 20. 01:32
안녕하세요 푸우시로 입니다.최근에 모 대학에서 NCS 직무능력 기초교육을 진행하면서..준비했던 자료들을 일부 발췌해서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무엇인가? 직장생활에서 문서를 읽거나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의미를 파악하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간단한 외국어 자료를 읽거나 외국인의 간단한 의사표시를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왜 중요한가? 과거에는 자신이 얼만큼 알고 있고 얼마나 능력이 있는지를 중요시 하는 시대였지만, 현재는 자신의 생각을 얼마나 잘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들어주는가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면 그만큼 직장생활 뿐 아니라 기타 사회생활에서 많은 어려움..